가치안정형 디지털자산인 '스테이블코인'의 법제화가 본격화되면서 국내 결제 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신용카드 중심으로 굳어져 있던 전통 결제 구조에 커다란 변화가 예고된 것이다. 결제 체계를 구성하는 신용카드사부터 각종 중간사업자까지 역할 재편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IB토마토>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앞두고 결제 시장이 어떻게 달라질지 전망해본다.(편집자주)
[IB토마토 황양택 기자] 스테이블코인 관련 해외 비즈니스 모델에서는 다수의 서비스·네트워크 사업자가 참여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기본적인 코인 발행자, 지갑 관리업자, 거래소 외에 여러 유관 업체가 시장에 진출했다. 결제 과정에 복잡한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되는 가운데 산업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가는 만큼 곳곳에서 침투가 활발한 모습이다. 해외서는 PG사도 특정한 역할을 맡고 있다.
발행부터 네트워크 구축과 유통까지…생태계 다수 참여
하나금융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해외 코인 발행자로는 양대산맥 격인 테더(Tether)와 써클(Circle)이 있으며 페이팔(Paypal), 팩소스(Paxos), 에테나(Ethena), 리플(Ripple), 스카이(Sky), 퍼스트디지털(First Digital) 등이 있다. 발행자는 넓은 범위의 핀테크 회사들로 코인 개발과 출시부터 소각, 준비자산 관리, 유통을 위한 제휴 등을 담당한다.
발행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사업자도 다수다. 이더리움(Ethereum)과 트론(Tron), 솔라나(Solana), 아비트럼(Arbitrum), 베이스(Base), 아발란체(Avalanche), 톤(Ton), 폴리곤(Polygon) 등이 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유통은 기존 가상자산 네트워크 아래서 이뤄진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해 각종 프로그래밍 도구나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곳도 여럿이다. 결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인프라를 지원하는 곳으로 앞서 언급한 팩소스와 함께 브릿지(Bridge), 아이언(Iron), 월드페이(Worldpay), 파이어블록스(Fireblocks), 제로해시(Zerohash)가 있다.
발행사로부터 준비자산을 따로 수탁해 운용하는 곳도 있으며, 코인 지갑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사업자도 존재한다. 스테이블코인 기반으로 기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보이는데, 해외 송금뿐만 아니라 소액대출 서비스도 이미 마련됐다.
PG 서비스나 카드 발급·결제 참여도 많아
해외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서는 PG 서비스와 카드 발급·결제를 담당하는 사업자도 제 역할을 하고 있다. PG 서비스에는 코인베이스(Coinbase)와 바이낸스(Binanace). 페이팔, 스트라이프(Stripe), 문페이(Moonpay), 머큐리오(Mercuryo), 코인게이트(Coingate), 핍토(Fipto) 등이 진출했다.
PG 서비스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모바일 앱 등에서 스테이블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개하거나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같은 가상자산 거래소와 다른 지급사업자 다수가 공존하고 있다.
카드 부문에서는 와이어엑스(Wirex), 스테이블스(Stables), 쿨리파(Kulipa) 등이 있으며,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는 앞선 PG 서비스 외에 카드 영역도 함께 다룬다.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는 카드 전산망(카드망)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카드 발급은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가능한 체크카드나 선불카드를 발행하는 서비스다.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을 매각해 결제 대금을 마련·지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코인베이스가 가상자산 카드를 만들면 비자나 마스터카드 등 카드사가 결제망을 지원하는 식이다.
(사진=삼성KPMG)
중개자 역할 지속…“PG사, 매장의 여러 고충 해소”
해외 비즈니스 모델에서 PG 서비스도 결국 국내 중간사업자의 중개 역할과 같은 모습이다. 가맹점이 스테이블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관련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후 정산 과정에서는 대금을 대리 수취하거나 수수료를 제외한 후 다시 가맹점에 지급한다.
안정성 측면에서 디지털 지갑을 스크리닝(Screening)하여 불법적인 자금이 지급되지 않도록 조치하고, 코인을 다시 환불 처리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신상희 하나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IB토마토>에 “가맹점과 소비자가 직접 P2P로 결제할 수 있다면 수수료 절감 차원에서는 가장 유리할 것”이라면서 “다만 이를 위해서는 매장이 직접 스테이블코인 지갑을 개설하고 관리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착오송금이나 실수 처리, 환불 같은 문제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금세탁이나 불법 자금 관련해서도 여러 법규를 준수하는 것이 소상공인 매장 입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어려운 일”이라며 “PG 서비스의 경우 중간에서 이런 고충을 해결해 주기 때문에 스테이블코인 시대에서 유효한 역할을 해나가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황양택 기자 hyt@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