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경영전략 컨퍼런스)5년간 ESG 전환 대기업에 50조 투입…신시장 창출
유웅환 대통령직 인수위원 “기업 대상 컨설팅 적극 지원”
미래성장위원회 설치 건의…민간 전문가 영입
공개 2022-06-22 16:45:12
이 기사는 2022년 06월 22일 16:45분 IB토마토 유료사이트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윤아름 기자] 대기업에 적용되고 있는 ESG 관련 규제를 축소·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국내 기업들의 ESG 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지원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 미래성장위원회를 새롭게 설치하고 민간 전문가를 영입해 현장 중심의 정책 발굴에 나서겠다는 목표다.
 
22일 유웅환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이 ‘Y노믹스 시대, 기업대응 전략’을 주제로 한 IB토마토의 경영전략 컨퍼런스에 참석해 ESG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현재 대기업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ESG 규제를 축소하거나 폐지해 기업의 지속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유웅환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이 22일 IB토마토가 개최한 경영전략컨퍼런스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IB토마토)
 
유웅환 인수위원은 “윤석열 정부는 ESG 전환에 돌입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며 “임기 말인 2027년까지 50조원을 투입해 지속가능경제를 가속화하고, 신시장을 창출하겠다”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론 ESG 혁신성장의 주축이 될 기본 로드맵을 제시했다. ESG 인프라의 원동력이 되는 공공데이터와 지식재산권(IP)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ESG 금융·에너지 및 탄소 분야 융복합 R&D를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하겠다는 안이다.
 
우선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를 주도로 ESG 협력 플랫폼을 구축한다. 금융위원회, 조달청을 중심으로는 ESG 금융을 지원해 ESG 혁신 R&D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지속가능한경영 전환 지원을 확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금융위원회는 우수기업이 자금 걱정 없이 우리 경제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속가능성장 금융공급을 민간금융과 정책금융을 합쳐 2021년 59조원에서 2030년 310조원까지 확대한다. 특히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ESG 컨설팅 활성화 등을 통해 ESG 분야 정책금융 지원은 확대될 전망이다.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산업·에너지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성장 관련 지원 확대도 약속했다. 민간 자율적 ESG 확산을 위한 ‘K-ESG’ 컨설팅 등 원스톱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유웅환 인수위원(사진=IB토마토)
 
유 의원은 “민간금융 차원에서도 지속가능 연계 금융상품이 지속 도입되고, ESG 지수가 추가 개발되는 등 ESG 금융 참여확대가 유도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선 각 정부 부처의 ESG 활동을 통합·조정할 수 있는 기구가 설치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유 위원은 ‘미래성장위원회(가칭)’ 신설을 통해 대통령과 민간전문가가 협력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해 ESG 인프라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을 위원장, 민간전문가를 부위원장으로 하는 이 위원회를 통해 전 정부부처를 아우르는 ESG 대응 통합 기구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는 것이다.
 
유웅환 위원은 향후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경제에 기반한 에너지 신산업이 육성될 것이라고 봤다. 결국 신기술과 연계된 에너지 신시장이 창출되는 공간을 선점하고, 저탄소 산업구조 전환을 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다만 데이터 소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데이터 산업발전 속 에너지 효율을 갖출 수 있는 방법으로는 ‘스마트그리드’를 제시했다. 데이터 산업이 발전하는 가운데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력 소비 관련 공공데이터 분석 등 전력 공급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 위원은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국가적인 에너지 설계도를 그려야 하지만 현재는 국가 차원의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다”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ESG 차원의 대응이 가능하도록 경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게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아름 기자 arumi@etomato.com
 
제보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