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충격 못 피한 CJ프레시웨이, 재무지표 악화 비상
영업활동현금흐름 부진에 차입 부담 확대
실적 회복 전망 불투명…체질 개선으로 대응
공개 2020-12-14 09:30:00
이 기사는 2020년 12월 10일 16:44분 IB토마토 유료사이트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손강훈 기자] CJ프레시웨이(051500)의 차입 부담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차입금 관리를 해왔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현금창출력이 타격을 받으면서 재무안정성 지표는 악화됐다. 설비투자·지분인수 등 비용 지출이 계획돼 있는 데다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잉여현금 창출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은 당분간 어려울 것이란 예상이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프레시웨이의 올 9월 말 부채비율은 379.7%, 차입금의존도는 44.1%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대비 부채비율은 71%p, 차입금의존도는 5.2%p 상승한 수치다.
 
 
 
원인은 올해 겪은 실적 부진 때문이다. 영업실적이 악화되며 영업활동현금흐름이 감소했고 이에 잉여현금흐름까지 줄어들며 자체 현금창출을 통한 차입금 억제력이 약화됐다.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조8783억원, 영업이익은 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4%, 95.6%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269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이 영향으로 영업활동현금흐름은 1년 전보다 나빠졌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올해 1~9월 총영업활동흐름(OCF)은 195억원으로 전년 동기(411억원)보다 52.6% 줄었다.
 
같은 기간 순영업이익(NCF)이 528억원으로 14.7% 감소한 탓에 자본적지출(CAPEX)과 배당금 합계는 올해 3분기 누적 425억원, 지난해 3분기 누적 429억원으로 큰 차이가 없었음에도 잉여현금흐름(FCF)은 104억원으로 1년 전보다 45% 줄었다.
 
이와 관련 한국기업평가는 지난해 매입채무 선지급의 기저효과로 올해 운전자본 규모가 감소했으나 OCF의 급감과 불확실한 사업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유동성 확보목적으로 현금보유액을 늘리면서 총차입금은 5774억원을 기록, 작년 말 대비 25.7%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CJ프레시웨이는 급식사업장, 물류인프라, 센트럴 키친(Central Kitchen)센터 등 설비투자와 송림푸드 및 제이팜스 추가 지분 취득 등으로 각각 40억원과 51억원이 발생하는 등 연간 500억원 규모의 투자가 진행되고 있어 차입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체 영업활동현금흐름 개선을 위한 실적 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실제 올해 상반기 매출 1조2269억원, 영업손실 99억원으로 적자를 기록했을 때의 부채비율은 396.3%였으나 코로나19가 진정세를 보였던 7~8월 외식수요 증가와 급식 식자재 공급 증가, IT와 제조 산업체 단체급식 신규 수주와 골프장 식음매출 회복이 긍정적인 작용을 하며 3분기 매출은 6513억원, 영업이익은 118억원으로 2분기 대비 각각 4.3%, 337% 증가하면서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흑자전환에 성공했고 3개월 만에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 등 신용평가사들은 코로나19의 영향이 내년부터 완화되면서 우수한 시장과 거래기반을 바탕으로 실적이 점차 회복될 것이라 전망했다.
 
다만 코로나19 장기화가 문제다. 최근 일별 신규 확진자가 600명을 넘어 700명에 육박하는 등 확산세가 커지자 정부는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2.5단계로 격상했다. 이에 반등 중이었던 소비심리와 외식수요 등이 둔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증권가에서는 내년 상반기까지 실적 개선이 더딜 것으로 봤다. 특히 4분기의 경우 체질 개선을 위한 구조적 노력으로 인해 실적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해석이다. 남성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효율적인 판관비 구조를 위한 사업구조 개편과 비수익 거래처 정리, 부실자산 손상차손 진행으로 일시적 실적감소가 예상된다”라고 분석했다.
 
실적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우는 이 같은 전망은 영업현금창출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여력이 당분간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에 힘을 보탠다.
 
이와 관련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IB토마토>에 “당분간 M&A나 지분투자 없이 내실을 다지는 운영을 해나갈 것”이라며 “매출이 어느 정도 나더라도 수익성이 부족한 부문은 과감하게 철수하는 등 수익성 중심의 사업구조 개편도 진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손강훈 기자 riverhoon@etomato.com
 
제보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