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토마토 이성은 기자] 자본시장이 급변하는 가운데 불안정성을 염두에 둔 조달 전략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9일 <IB토마토>가 '자본시장 대전환기, 기업의 자금전략을 다시 묻다' 주제로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한 '2025 캐피탈마켓포럼'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기업의 자금 조달 전략에 대해 불안 ‘금리 변화 속 기업 자금 조달 수단의 진화’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기업 자금조달에서 펀더멘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금리를 둘러싼 시장 환경 불확실성이 크다"라며 "기준금리가 예상보다 늦게 하락하고 있어 0%에 가까운 초저금리로 낮아질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미국 관세 정책을 비롯해 국제 분쟁, AI 도입 등 기업 자금 조달 환경은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기업의 자금 조달 여건은 금리와 신용스프레드에 따라 움직인다. 기업은 은행 대출을 받거나, 채권 발행 상장을 통한 주식발행 등의 방식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실질적으로는 유상증자 등의 방법보다는 은행 대출이나 채권 발행을 통해 필요 자금을 확보한다.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사진=IB토마토)
다만 기업 성장단계별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은 제약돼 있다. 초기 기업이 데스밸리를 지난 후 정책자금, 은행 대출을 받는 형식이다. 초기에는 주로 창업자 본인의 자산으로 자금을 대고 일정 수준으로 성장을 해야 상장이나 자본시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김 연구위원에 따르면 신용스프레드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기업 신용등급에 따라 조달 구조 차이도 존재한다. 신용등급 AA급 이상의 대기업만이 회사채 등 자본 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 은행 대출 비중이 높은 이유다. 중소기업은 금리 부담이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구조에 노출돼 있다.
그는 "많은 기업들이 은행 대출에 의존하고 있다"라면서 "은행의 대출 금리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은행채 조달"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늘어나는 반면 정상적인 기업 대출은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탓이다. .
우리나라 정부도 기업의 자금 조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방향을 정해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가계 대출 억제 정책도 그중 하나다. 은행과 금융기관의 자금을 기업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서다. 위험감내 자본을 늘리는 것도 같은 이유다.
김 연구위원은 "기업 규모나 신용도에 따라 탭핑할 수 있는 시장이 달라지고 있다"라며 "앞으로 혁신 기업이나 중소기업들의 자금 지원 방향에 있어 정책 금융이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의 생산적 금융 추진에 따라 도입되는 국민 성장 펀드도 기업 자금조달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수급 요인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내년에는 일반 기업들이 채권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다. 금리가 하향 안정세를 취하기 때문에 스프레드를 얹어 수익을 높이려는 투자자들이 늘어 신용 스프레드도 안정세를 나타낼 수도 있다.
그는 "생산적 금융 확대, 은행 기업 대출 확대 등의 정책들이 취해질 수 있다"라며 "기업의 자금조달 수단도 채권보다는 기존 생산적 금융 툴 또는 정책자금 공급이 늘어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성은 기자 lisheng124@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