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유치 나서는 큐라티스, 결핵 백신 상업화 속도 붙을까
상장 후 160억원 자금 조달…QTP101 임상 속도
완전 자본잠식 벗어나…결손금 방어는 숙제
공개 2023-12-07 06:00:00
이 기사는 2023년 12월 04일 18:44분 IB토마토 유료사이트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김혜선 기자] 백신 개발 기업 큐라티스(348080)가 상장 6개월 만에 투자 유치를 한다.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주력 파이프라인 BCG 부스팅 결핵백신(QTP101)의 임상 진행과 상업화를 앞당기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큐라티스는 올해 6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면서 완전 자본잠식에서 벗어난 가운데, 이번 자금조달로 재무구조 개선 기조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사진=네이버 큐라티스 제공.)
 
160억원 자금 조달 나서…QTP101 상업화 속도 앞당길까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큐라티스가 올 하반기 총 160억원의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유상증자로 80억원을 조달한 데 이어 지난달 유상증자 40억원, 전환사채 40억원을 통한 자금 확보가 결정됐다. 이번 자금 조달의 목적은 QTP101 임상진행 및 상업화를 위한 자금 및 회사 운영자금의 선제적 확보다.
 
QTP101은 항원(ID93)과 면역증강제(GLA-SE)를 조합한 BCG 부스팅 방식의 결핵 백신이다. 흔히 불주사로 불리는 영유아용 결핵 백신은 지속기간이 10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BCG를 재접종하더라도 결핵 방어 효능이 향상되지 않는다. 이에 큐라티스는 현재까지 유일하게 사용되는 결핵백신 BCG를 보완해 청소년 및 성인의 예방을 위한 백신을 개발 중인 것이다.
 
큐라티스가 QTP101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임상시험도 신중해지면서 자금 조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QTP101은 55~74세를 대상으로 한 2a상, 청소년 및 성인 대상으로 한 2b/3상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지난 9월 55~74세를 대상으로 한 2a상을 1상으로 변경하고 2a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자진 취하했다. 큐라티 측은 청소년 및 성인 대상 2b/3상을 집중하고자 하는 임상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큐라티스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통화에서 메인 "메인 임상으로 훨씬 앞선 단계인 성인 및 청소년용 2b/3상을 진행하는 만큼, 이에 집중하면서 노인 연령층 확대를 진행하고자 하는 임상전략의 변경이 있었다"라며 "추후 2b/3상을 진행하면서 단계적으로 노인으로의 연령층 확대를 진행하고자 한다"라고 설명했다. 
 
유력한 상업화 후보인 QTP101 임상전략을 변경한 상황에서 부진한 유동성을 제고하기 위해 나선 것이다. 큐라티스의 올해 3분기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5억1255만원 수준이다. 한해에 50억원 이상의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 상황에서 임상 단계가 올라갈수록 R&D 비용이 대규모로 늘기 때문에 이번 자금 조달이 절실했다.
 
실제 큐라티스는 올해 3분기 기준 연구개발비로 34억원(연구개발비율 340%)을 사용했다. 특히 2019년(52억원)부터 2020년 53억원, 2021년 64억원, 2022년 93억원 순으로, R&D 비용이 50억원을 하회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자금 조달이 필요했던 상황이다.
 
IPO 통해 완전 자본잠식 벗어났지만…매출 통한 재무건전성 유지 관건
 
여기에 자금 조달로 큐라티스가 재무구조 개선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큐라티스는 기업공개(IPO) 당시 140억원 규모의 공모 자금을 조달해 완전 자본잠식에서 간신히 벗어났다. 현재 급한 불은 끈 상황에서 당기순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큰 숙제로 남은 것이다.
 
 
큐라티스가 올해 4월 공개한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상장 직전인 올해 1분기까지 자본금과 자본총계는 각각 116억원, -305억원으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였다. 2021년(115억원, 84억원)까지는 완전 자본잠식까지는 아니었지만 급격하게 재무상태가 악화된 것이다. 큐라티스의 결손금이 1708억원까지 늘어나면서 기존 자금을 버티지 못한 결과다.
 
이후 큐라티스는 IPO를 통해 조달한 140억원의 공모 자금 중 17억5000만원(액면가 500원*주식 수 350만주)이 자본금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122억5000만원이 자본잉여금으로 들어왔다. 이에 올 3분기에는 자본금 194억원, 자본총계 276억원으로 완전 자본잠식 뿐만 아니라 자본잠식 자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현재 큐라티스의 가장 큰 숙제는 당기순손실 최소화다. 매출이 견인되지 않으면 당기순손실이 심화되면서 결손금에 누적되기 때문에 자본잠식으로 돌아갈 위험이 내재돼 있는 것이다. 큐라티스가 수익성을 목적으로 시작한 CDMO사업 매출이 QTP101의 임상 3상을 버텨줄 기초 체력이 돼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2020년 큐라티스는 충청북도 오송읍 바이오플랜트 및 바이오연구소를 설립으로 본격적인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나서면서 매출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실제 큐라티스는 지난해 CDMO로 3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2019년 8000만원, 2020년 1억1000만원, 2021년 16억원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점차 매출 확대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올해 3분기 기준으로는 7억4129만원에 그쳤지만 현재 큐라티스는 CDMO사업과 관련해 논의 중인 업체가 있다고 설명했다.
 
큐라티스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통화에서 "국내외 유수의 제약 및 바이오업체와 위탁생산 및 위탁개발 관련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큐라티스는 지난해 오리온(271560)과 중국 합자법인(신둥루캉하오리요우생물기술개발유한공사)을 설립하면서 QTP101의 중국 내 임상, 생산, 상업화 등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중국 현지에 CDMO사업도 기대하는 모습이지만 오리온에 따르면 정해진 게 없다는 입장이다.
 
오리온 관계자는 중국 합자법인을 통한 CDMO사업 영위 가능성에 대한 <IB토마토>의 질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백신만 하고 있다"라며 "백신부터 주력한 후 장기적으로는 고려하고 있으나 확실한 계획이 있진 않다"라고 설명했다.
 
김혜선 기자 hsunn@etomato.com
 
제보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