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RS17·K-ICS 앞둔 보험업계, 신용등급 핵심은 '자본완충력'
금리 상승에 자본확충 부담 커져…자본관리 능력 부각
공개 2022-11-07 15:39:47
이 기사는 2022년 11월 07일 15:39분 IB토마토 유료사이트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황양택 기자] 보험업계가 내년부터 새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K-ICS·킥스) 체제에 돌입하는 가운데 신용등급 평가 기준에서는 ‘자본완충력’ 확보 수준이 핵심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추가적인 자본증권 발행이 요구되고 있지만 높아진 조달금리로 자본확충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더욱 부각되는 모습이다.
 
7일 신용평가 업계에 따르면 새로운 회계 제도와 관련해 보험금지급능력 신용평가에서 자본적정성의 상대적 중요도가 이전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본의 적정성은 사업위험과 수익성, 자산건전성 등 재무위험 전반에 대한 관리 결과로 나타나는데 새 제도에서 그 변화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IFRS17은 국제적으로 통일된 회계 기준을 적용해 회계 정보의 유용성을 증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험사 재무 요인에는 다양한 영역에 걸쳐 변화가 나타나는데 보험부채는 기존의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하며, 수익 인식은 현금주의에서 발생주의로 변경된다. 또 보험 본연의 업무에서 거리가 있는 저축성보험은 수익 측정에 대다수 반영되지 않는다. 사업비도 직접비와 간접비로 나눠 처리한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킥스 제도에서는 가용자본(기본자본과 보완자본으로 구분) 부문에서 손실흡수성 요건을 명시적으로 규정해 전반적인 자본성 요건이 강화된다. 반면 요구자본은 리스크 측정방식이 위험계수 방식에서 충격시나리오 방식 중심으로 바뀌는데 새로운 검토 리스크 항목들이 추가되고 신뢰수준 수치는 상향된다.
 
자본적정성을 나타내는 지급여력비율 지표는 기본적으로 가용자본이 되는 지급여력금액을 요구자본인 지급여력기준금액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보험업법에서는 해당 비율이 100%가 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새로운 회계제도 계산식에서는 분자 요건이 까다로워지고 분모에서는 고려해야 할 점이 늘어난 것이다.
 
요구자본이 확대되면서 보험사의 자본확충 부담도 커졌다는 설명이다. 보험사별로 자산 운용의 방식이나 보험영업 포트폴리오 구성에 따라 요구자본 수준이 차별화될 것이나 전반적으로는 자본관리 중요성이 커진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부채를 시가로 평가하게 되는 만큼 금리리스크가 자본적정성 관리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지난해부터 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채권에 대한 평가이익이 크게 줄어 RBC비율이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 수준을 밑도는 곳들이 나타났는데, 금리위험은 현행 RBC 제도보다 다가오는 킥스 체제에서 더욱 주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신용평가 관계자들의 시선이다.
 
최근에는 금융시장 변동에 따라 자본조달 여건이 더욱 악화됐다는 점이 핵심 문제로 언급된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자기자본 대비 자본성증권 발행잔액 비중은 각각 38.6%, 39.6% 수준으로 나타난다. 보험사들은 코로나 이후 시점부터 금리상승에 따른 RBC비율 하락을 방어하고, 새 제도 도입에 대비하기 위해 자본증권 발행을 늘려왔다.
 
다만 보완자본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수익성 측면에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자본적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악순환적 위험요인으로 꼽힌다. 그간 오랫동안 저금리 기조가 이어져 왔던 만큼 기존 자본증권에 대한 차환만으로도 보험사가 부담하는 조달금리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고금리 기조가 상당 기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자본적정성이 열위한 보험사는 비우호적인 발행 환경이 더욱 부정적 요인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이다. 채권 시장 위축으로 신용등급이 열위한 보험사는 투자수요 부진뿐만 아니라 리스크 프리미엄 확대 등 관련 위험도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김한울 나이스신용평가 선임연구원은 “자본적정성에 있어 포괄적인 자본관리 능력의 상대적 중요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신용평가사가 가장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보험사의 자본완충력 수준이다”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결과적으로 보험업권에서 양적·질적 자본확충 부담은 지속적인 이슈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덧붙였다.
 
황양택 기자 hyt@etomato.com
 
제보하기 0